이 책은 증후비평의 전형으로 간주되는 들뢰즈의 영화론을 전격 해부하는 시리즈의 두번째 권이다. 이 책은 깊고 난해한 들뢰즈의 사상을 영화라는 대중적인 매체를 통해 독자들이 비교적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그의 사상에 주석을 달고, 그가 제시한 영화 작품들을 해설하고, 그 핵심적인 요지들을 추려내어 요약하고 있다.
들뢰즈의 영화론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물질의 운동이 이미지로 가시화되어 점점 주관적인 역량들(지각, 정감, 충동, 행동)로 변주해가는 과정을 다루는 “운동-이미지”이며, 두 번째는 물질의 운동을 넘어서는 주관성의 심층적인 역량인 기억과 사유의 양상을 고찰하는 “시간-이미지”이다. 그리고 그의 영화론의 배후에는 ‘물질과 기억’의 철학자 베르그송이 있다. 베르그송은 정신과 물질의 대립으로 세계를 설명하는 이원론의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라는 반-주관적 존재의 개념을 창안하였다. 그에 따르면 이미지는 물질의 운동과 정신 모두에 공통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그는 관념을 무시하는 유물론이나 물질을 무시하는 관념론을 넘어, 세계는 이미지의 구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천명한다.
들뢰즈는 베르그송이 말한 이미지를 가장 잘 예시해주는 매체가 바로 영화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영화사에서 일어났던 다양한 이미지 편집 방식을 고찰하면서, 운동과 사유가 형성되고 소멸하는 과정에 대한 베르그송의 이미지론을 영화를 통해 구체적으로 육화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들뢰즈의 영화론은 영화를 매개로 한 베르그송 이미지론의 재구성이다.
이 책 <씨네마톨로지2>는 들뢰즈 영화론의 첫 번째 부분에 해당하는 운동-이미지의 후반부를 다루고 있다. 1권에서는 운동-이미지의 철학적 근거를 베르그송의 이미지론을 분석하면서 주로 다루었으며, 영화사에서 현존했던 많은 유파들의 이미지 구성 방식(몽타주)을 간략히 소개했다면, 이 책 2권에서는 그 유파들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이미지들을 변주하고, 그 목적은 무엇이었는지를 작품들을 예시하면서 심화하여 해부한다.
문학박사(영문학), 문화비평가. 계간 문예비평지 「비평」(2001)에 예술론인 「문학(예술)에서의 본질과 표현: 전체성의 새로운 모델」을 실으며 비평에 입문함. 그 후로 학술·문화 관련 논문과 평론들을 기고하고, 번역·저작 활동과 아울러 들뢰즈의 영화와 예술 그리고 미디어론에 관한 강의와 저술 작업을 하고 있다. 주요 번역서로 프레드릭 제이미슨(Frederic Jameson)의 「지정학적 미학」(2007),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의 「가상계: 운동, 정동, 감각의 아쌍블라주」(2011), 「정동정치」(2020) 등이 있으며, 주요 저술로는 「들뢰즈의 잠재론」(2010), 「들뢰즈의 씨네마톨로지」(2012), 「시선정동」(2022), 「씨네마톨로지1」(2022) 및 다수의 잡지 기고문, 학술 발표 논문들이 있다.